들어가며
전에 작성한 스터디 후기가 1주 차였는데 어느새 시간이 흘러서 15주 차라고 하니 믿기지가 않으면서도 뿌듯했다. 글을 작성하지 않은 주차를 진행하면서 피곤한 날, 일정이 생긴 날도 있었지만 스터디하는 요일을 바꾸면서 꾸준하게 하고자 했다.
코딩 테스트 스터디 진행 방법
글을 작성하지 않은 주차가 진행하면서 스터디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스터디 방식이다. 스터디를 시작한 시점에서 스터디 인원들이 퇴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적게는 45분, 많게는 1시간 50분이었다. 때문에 코딩을 평일 시간에 나눠서 조금씩이 아닌 주말에 몰아서 급하게 해치우는 방식이 다수에게 보여서.. 스터디 시간에 문제를 풀기로 했다:)
그래서!! 지금은 8시 30분에 스터디를 시작해서 SQL 2~4개, 알고리즘 2~6개 정도를 풀고 있다.
SQL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Kit에서 한 사람당 2 문제를 선별한다. 그리고 난이도를 파악 후에 문제를 푸는데 소요할 시간을 정한다. 평균적으로 1문제당 5문 정도로 잡는 거 같다. (한분은 개인 사정으로 쉬고 계시다)
만약 생각보다 문제 푸는데 오래 걸리면.. 아래 사진 처럼 채팅을 치거나 마이크를 켜고 말을 한다..ㅋㅋㅋㅋ 이후 서로 작성한 쿼리를 공유하는데 그러다 보면 왜 안 됐던 건지 원인이 찾아진다.. 이때 드는 생각은 개발자에게 매몰이란 위험한 것 같다.
그럼에도 해결이 안되면 2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대부분 다음 주 스터디까지 숙제로 해오고 가끔가다 정말 궁금하면 다른 사람 풀이를 보는 방식이다. 이때 드는 생각 난 아직 부족하구나.
알고리즘
한 사람당 1단계 2~3문제를 선별하고 디스코드에 보낸 후에 평균적으로 10 ~ 20분 정도를 문제 푸는데 소요한다. 그리고 문제를 다 풀면 코드를 공유하고 자신과 다르게 한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아직까지 문제 레벨이 낮아서.. 대부분 비슷한 풀이가 많은 거 같다.. 우선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1단계 문제들을 주로 풀고 있다!
후기
15주차 정도 진행하다 보니 스터디도 이제 습관이 된 거 같다. 초반에는 '오늘 진짜 하나..?' 하는 반신반의하는 생각에 퇴근하면서 항상 서로에게 물어봤는데 이제는 그러지 않고 퇴근 후 8시 25~30분쯤 알아서 디스코드로 모인다.

요즘들어 드는 생각은 스터디도 중독?인 거 같다. 대단한 성과가 아니어도 어쨌든 일궈내는 게 있다 보니.. 하고 싶은 게 생기면 함께 스터디할 사람을 찾게 되는 거 같다ㅎㅎ 요즘 들어 블렌더가 하고 싶어서 친구한테 물어보니 마침 이 친구도 관심이 있다고 하길래 목요일에 스터디를 하게 됐다!! 얼마 남지 않은 2024년은 바쁘게 살아보자:)
'Dev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2025년 준비하기 (Google Calendar와 Notaion Calendar 연동하기) (0) | 2025.01.11 |
---|---|
[일상]코딩테스트 스터디 1주차 후기 (0) | 2024.07.28 |
[Error] 2024.03.07 spring security 6 에러 모음2 (0) | 2024.03.08 |
[Error] 2023.03.06 spring security 6 에러 모음 (0) | 2024.03.07 |